파로스갈치540S 연조 구입했는데요 H타입 어떤 상황에서 사용합니까?
연조 S타입의 경우는 입질이 예민하고 미끼만잘라먹고 가 버릴 때 초리로 예민한 입질을 읽으며 낚시할 수 있게 초리 부분의 액션을 부드럽게 만든 제품입니다.
일반적인 설명으로 이 낚싯대는완전히 바늘까지 물고 들어갈 때(약 15CM정도 딸려 들어감)챔질을 하시면 됩니다.
H타입으로 사용해야 할 때는 4지 이상 대물을 걸어 올릴 때 2번대의 파손을 적게 하고 또 너무많이 휨으로 인하여 끌어올리는 시간을 단축하고자 할 때 사용하면 좋습니다.
일질 형대는 S타입과 동일하나 챔질 타이밍은 2번대가 휨이 적으므로 10Cm 정도 끌고 들어갈 때가 적기입니다.
하지만 챔질 타이밍에 대한 수치는 우리회사 테스트 팀이 수회의 출조에서 미끼를 갈치로 하고 바늘보다 약 3~5Cm 정도로 길게 걸었을 때 나온 수치일 뿐임으로 조사 님의 채비와 미끼의 사용방법에 따라 많이 달라질 수있으니 반드시 현장에서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낚싯대를 일자로 잡아 당기거나 초릿대 이상을 물속에 집어넣고 오랜 시간 낚시를 하다보면 물때가 끼어 접히지 않을 경우가 생깁니다.
초리부터 4번정도의 가는 절번일 때는 맞물린 절번(예로 1번((초리))이 2번에 끼어 빠지지 않을 경우)2번의 상단부와 1번의 끼임이 발생한 부위에 고무밴드를 감아 살을 올린 후(두께가두터워지게 함) 2번 상단부에만 뜨거운 물을 뿌리고 즉시 상하를 좌우로 비틀어 주시기 바랍니다.
긁은 절번의 경우도 위와같이 맞물린 쪽 (바깥쪽 절번 입니다)에 뜨거운 물로 외경확장을시킨 후에 상하를 좌우로 비틀어주면 접히게 됩니다.
절번이 부러져서 하단절번에끼인 경우는 부러진 쪽의 남아있는 잔존물을 아래로 항하게 한 후 단단한 타일바닥 등에 힘있게 직각으로 내려칩니다.
이후에는 반대로해서 잔존물이위에 있는 상태에서 위의 방법으로 4~5회 내려치면 빠지게 됩니다.
하지만 물기가 있는 경우에는일부가 아래로 내려간 후 내부에 걸려있으므로 전방의 안전을 확보한 후에 내경이 굵은 쪽을 바깥쪽으로 향한 후 가볍게 뿌려주면 빠져 나옵니다.
OEM 제품은 발주업체에 따라 액션기능등이 상이하므로 본사에서 서비스를 시행 할 경우 비 호환 제품으로 수리될 우려가 있으므로 항시 제품을 출시하는 발주업체에서 처리 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본사 홈페이지의 재품소개난에 등록되지않은 제품은 발주(판매)업체를 통하여 수리 받으시기 바랍니다.
서비스 센타 주소는 경북 경산시 와촌면 용천길 57 (주) 강원산업 서비스 센타 이며 전화번호는 053-853-0725번 입니다
수축튜브는 어느정도 요령없이 취급하면 바톤대 손잡이부위(수축튜브를 장착한 부분)가 부서지는 경우가 자주발생합니다.
이런 경우에는 무상서비스도 불가능 할 뿐만 아니라 손잡이 부위가 가장 비싼 부품이 됨으로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게 됩니다.
위의 경우가 발생하는 유형을 보면
1 수축튜브 직경이 손잡이 직경보다 약간크거나 거의 끼이는 것을 사용합니다.
2 드리이어를 사용치 않고 도치램프로 가열 수축합니다.
3 드라이어를 사용하더라도 중간정도의 열로 낚싯대를 돌려가면서 하지않고 강한열로 한쪽면이 수축되면 다른 면으로 옮겨서 수축합니다.
4 이렇게 되면 낚싯대 손잡이 부분의 카본섬유가 열화연상으로 약해지게 됩니다.
5 열화로 약해진 손잡이 부분을 열이 완전히 식지않은 상태에서 움켜쥐게되면 카본 부분이 갈라져 버립니다.
올바른 수축튜브의 처리방법
1 수축튜브는 전기공사용이 아닌 (전기공사용은 통상 50% 최대 75% 까지 압착이 됩니다. 즉 100mm 튜브를 열처리 하면 25mm 까지 압착이 됩니다.) 낚싯대용을 사용합니다.
2 수축튜브의 직경은 낚싯대 손잡이 굵기보다 5~10mm 정도 여유 있는 사이즈를 선택합니다.
3 수축 시는 도치램프를 사용하지 마시고 반드시 드라이어를 사용하시고 중간정도의 열로 튜브와 15Cm이상을 벌린상태에서 천천히 아래 위로 흔를면서 (3~4회)한 면을 가열합니다.
4 다음과정은 가열된 부분 옆면으로 60도 정도 돌린후에 3번 과정을 반복합니다.
5 4번과정을 반복하여 완전 수축이 되었다고 느끼면 손으로 수축튜브 부분을 만져도 체온정도로 느껴질때 까지 충분하게 식혀 줍니다.
이렇게 급하지 않게 하시면 바톤부를 망가트리지 않고 수축튜브를 장착 하실 수 있습니다.
일반대(L타입) 사잇대(S타입)구분은 기존 04칸단위로 나오던 낚싯대를 0.2칸
단위로 세분화 하면서 기본 낚싯대 절번 중 일부를 조금씩 짧게 만들어 사잇대 라는 제품을 출시 한 것 입니다.
드림의 경우 13, 17, 21, 25, 29, 32, 36, 40, 44,48, 51칸이 기본 제작된 일반대 타입인데 이를 0.2칸 단위로 세분화 하다 보니 사잇대는일반대에서 1, 2, 3, 4, 5번을 조금씩 잘라 23, 2730, 34, 38, 42칸이 사잇대 라는 부제를 달고 탄생한 것 입니다.
따라서 사잇대 제품과 일반대 제품의 부품은 일반대는 1~5번까지가사잇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조금 길고 사잇대는 조금 짧습니다.
록시의 경우는 16, 20, 24, 28, 32, 36, 40, 44, 48,52칸이 일반대 이며 그 중간의 0.2칸 단위인 18,22, 26, 30, 34, 38, 42, 46, 50칸은 사잇대 입니다.
록시는 1~7번까지 사잇대가 일반대에 비해 조금 짧습니다.
록시는 16~22칸 까지는 2,3, 4번 부품이 다릅니다. 하지만 길이 관계는 일반 사이 관계에 준해 있습니다.
클라우드 운은 1, 2, 3번은 일반대 사잇대 공용으로 사용하며 즉길이가 동일 합니다.
클라우드 운 의 경우는 16, 20, 24, 28, 32, 36, 40,44, 48, 52칸이 일반대 이며 그 중간의 0.2칸 단위인 18, 22, 26, 30, 34, 38, 42, 46, 50칸은 사잇대 입니다.
서로 다른 부품은 4, 5, 6, 7번이며 사잇대는 일반대 보다 조금짧습니다.
자수정 큐는 위와 같은 일반대와 사잇대 구분 원칙을 따르며 16~24칸까지타입이 다릅니다.
하지만 일반 사이의 구분은 위와 동일하며 26칸 이상은 1, 2, 3번 공용으로 사용하며 2번부터는 일반대는 마디 상단에L204~L211까지 절번 수가 표기되며 사잇대 역시 S204~S211까지절번 수가 표기되어 있습니다.
도비는 사이 일반의 구분은 드림과 마찬가지로 1~5번까지만 구분이됩니다.
본사는 홈페이지에 소비자 분들의 부품수급 편리를 위하여 부품코너를 쇼핑몰 방식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부품 주문 시 회원가입이 필요 없으며 비회원 주문으로 하시면 됩니다.
본사 회원가입 시에도 택배등 발송을 위한 성명, 전화번호, 주소, 이메일정도만 수집하며 주민번호는 일체 수집하지 않습니다.
카드 결제 시는 반드시 카드결제 밴사인 LG의 엑티브엑스 프로그램을 설치하셔야 합니다.
프로그램 설치 여부를 물을때 설치창이 사라진 경우는 현재창 아래에 있는 경우이니 현재창을 최소화 하시고 설치 하시기 바랍니다.
주문 시 결제오류등으로 인하여 복수 혹은 다수의 주문이 생성될 경우 결제가 완료되면 가장 최신의 주문 외에는 삭제가 됩니다.
엑티브엑스 설치프로그램 직접 다운로드 http://www.15447772.co.kr/
카드 결제의 경우에는 주문 후 결제가 되지 않은 건은 익일 삭제처리가 됩니다.
그리고 현금결재(계좌이체) 시 주문일로 부터 3일 이내에 입금이 확인되지 않으면 주문이 삭제 됩니다.
만약 4일차 이후로 입금하시고 주문내역을 확인 하실경우는 주문내역이 남아있지 않게 됩니다..
이때는 본사 고객관리센터(053-853-0725 통화 가능시간 10:00~12:00 / 13:30~16:00)에 주문내역을 통지하시고 물품 수령을 위한 정보(주소, 성명, 전화번호)를 알려 주시기 바랍니다.
드림과 자수정은 은 1~5절번까지는 일반대와 사잇대가 구분되며 6번절번부터는 모두 공용으로 사용됩니다.
1~5번까지 길이가 다른 이유는 일반대를(L타입) 조금씩 길이를 줄여서 사잇대(S타입)으로 제조하기 때문입니다.드림과 자수정의 의 일반대와 사잇대 구분 13, 17 ,21, 25, 29, 32, 36, 40, 44, 47, 51칸은 일반대이며 L타입이라 하며19, 23, 27, 30, 34, 38, 42칸은 사잇대이며 S타입 이라고 합니다.
이 제품들은 2005년 정도까지 13, 17 ,21, 25, 29, 32, 36, 40, 44, 47, 51칸이 표준으로 생산되어 생긴 표기 입니다.
근래는 0.2칸 단위로 생산되기때문에
초고탄성 낚싯대의 특성
1 초고탄성 카본을 사용합니다. 여기에서 초고탄성 원단이 얼마나 많이사용 되는가에 따라 제어력이 차이가 납니다.
2 초고탄성 원단의 사용량이 높은 낚싯대일수록 직진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손 맛 역시 좋아지고, 고기를 걸었을때는 자신감을 가지고 뽑아 올릴 수 있게 단단 합니다.
3 그러나 단점도 있습니다.
이소대 즉 바다낚싯대를 사용해 보신분들은 아주 많이 들은 이야기로 갯바위에 걸쳐놓지마라.... 이 말은 갯바위의 돌출부로 인하여 험집이 생기면 그 부분이 절단되기 떄문입니다.
다행이 민물대는 절번이 바다낚싯대에 비하여 많으므로 험집정도에는 파손이 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스윙 시 낚싯대는 돌고있는데 스윙동작을 중단시켜버리면 힘의 역순환으로 인하여 여러동강의 결절이 생길 수 있습니다.
역시 헛챔질도 마찬가지 입니다.
챔질하다가 빈 대다 느낄때 아래로 내리 꺽어면 헛 스윙 시와 동일한 결과가 생깁니다.
수초를 걸었을때 역시 지긋하게 당겨내야지 강제로 툭 툭 체다보면 절번 결절이 발생 합니다.
4 튼튼함을 즐길수 있는 방법은 낚싯대를 제어할때 흐름에 맏기는 것입니다.
즉 힘의 순환방향을 강제로 중단 시키지 않으면 왠간한 대물도 거뜬히 뽑아낼 수 있습니다.
5 고탄성 낚싯대의 특성상 2번 부분이 찌 맞춤 시 너무 아래로 당겨내리면 저탄성 낚싯대에비해 쉽게 파손이 됩니다.
이런사항은 저탄성 낚싯대와 달리 타고난 결점이므로 항상 꺽임 각도가 적당하게 되도록 주의 하시기 바랍니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수기 송장은 저희 센터에 도착하면 글씨를 알아보기 힘든 형태로 도착하는 경우가 매우 자주 발생합니다. 이런경우 전화번호라도 있어야 회송시킬 주소라도 물어 보는데 전화번호까지 적혀 있지 않은경우는 되돌려드릴 방법이 없습니다.
이러한 회송불가 제품은 6개월간 보관 한 후 폐기 합니다.
그리고 화물을 제외한 택배사에서는 받을 분의 전화번호가 기록되지않는 물품은 아예 수령하지를 않습니다.
반드시 송장에 전화번호를 기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